반응형

중국경제 5

중국의 첨단 제조업 도시 허페이가 말하는 중국 경제의 현주소 (NYT)

중국의 첨단 제조업 도시 허페이가 말하는 중국 경제의 현주소 중장기 흐름에 집중하며 중요 기사들, 생각을 돕는 기사들을 정리해서 기록합니다. 주로 경제, 국제관계, 산업, 기업, 기술 동향을 중심으로 간략한 코멘트와 함께 정리합니다. 아래 NYT 기사는 중국 허페이시(合肥市) 시정부가 첨단 제조업체를 육성하는 방법과 현황을 소개함과 동시에, 부동산 침체와 맞물려 일어나는 경제적 현상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습니다. 첨단 제조업 육성을 위한 지방정부 간의 경쟁, 전기차 제조업의 민관융합, 부동산 산업과 신에너지 산업의 경제적 영향 비교 등 경제적 현상의 디테일을 상상해볼 수 있는 기사입니다. 허페이시는 그동안 전기차, 디스플레이 등 중국의 첨단 제조업 발전에 기여해 왔지만, 여전히 전국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의..

Article Archives 2024.02.08

중국의 부채가 문제가 아니다 (FT)

중국의 부채가 문제가 아니다 형세를 읽어내고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되는 전문가들의 기고글을 번역해 정리합니다. 아래는 중국 베이징대학교 광화경영대학원의 재무학 교수이자 카네기 국제평화기금의 선임 연구원인 마이클 페티스(Michael Pettis)의 Financial Times 기고글(12/20일)입니다. 무디스가 차입 폭증으로 인한 '광범위한 하방 리스크'를 이유로 중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하향 조정한 이후 중국의 부채 부담 급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IMF가 최근 발표한 '글로벌 부채 모니터'에서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1980년대 이후 4배나 증가했다고 강조한 것을 감안하면 이해할 수 있는 일입니다. 특히 지난 10년간 그 증가 속도는 더욱 빨랐습니다. IMF에 따르면..

Column Archives 2024.01.06

석유화학 업계 공급 과잉, 메모리 반도체 가격 반등, 중국 금리 인하 등

석유화학 업계 공급 과잉, 메모리 반도체 가격 반등, 중국 금리 인하 등 중장기 흐름에 집중하며 중요 기사들, 생각을 돕는 기사들을 정리해서 기록합니다. 주로 경제, 국제관계, 산업, 기업, 기술 동향을 중심으로 간략한 코멘트와 함께 정리합니다. [생각을 돕는 기사 · 자료 리스트] 1. 한화솔루션, 북미 시장에서 IRA 세액공제 극대화 …태양광 사업 ‘잰걸음’ 2. 자체물량 넘치는 中'에 못파니…올해 석유화학 수출액 15% 급감 3. 日 '디플레 탈출' 신호인가…20개월째 물가 목표치 달성 4. 中, 바이오도 맹추격…"한국도 적극 투자·지원 나서야" 5. 반도체 메모리 가격 2년반 만에 상승…"감산으로 시황 반전" 6. 中 상업은행 예금금리 또 인하…BoC·ICBC 등 한화솔루션, 북미 시장에서 IRA..

Article Archives 2023.12.25

두 달간의 기록 Part 2 (고용 데이터, OPEC+, 중국 부양모드)

두 달간의 기록 Part 2 (고용 데이터, OPEC+, 중국 부양모드) 4/7일부터 6/15일까지 개인 사정으로 바쁘기도 하고, 공유하고픈 생각도 딱히 없어 짧은 코멘트로만 기록을 남겼습니다. 그만큼 시야가 뚜렷했다 생각합니다. 아래 해당 내용을 공유합니다. ■ 6/3일 코멘트: 전일 발표된 고용 데이터는 관찰자에게 적잖은 혼동을 낳을 수 있음. 가계조사 base인 실업률은 상승했으나, 사업장 조사 base인 논팜 역시 증가했기 때문. Key는 농업&비농업 자영업자와 경제활동참여율의 미세한 변동임. 사업장 조사는 농부, 자영업자, 가사도우미는 계산에 포함되지 않음에 유의. 경활률 역시 미세한 변동이 있었으므로 노동력 pool을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했을 것. 그동안 실업률이 지속 떨어져온 여성과 흑인 카..

Macro Essay 2023.08.03

슬금슬금 고개 드는 중장기 기대인플레이션 등

7월 26일 데일리 아카이브 슬금슬금 고개 드는 중장기 기대인플레이션 최근 잘 잡혀있던 중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이 슬금슬금 고개를 드는 모양새입니다. 5년, 5년 Forward, 10년 BEI를 보면 빠르게 방향을 전환하는 모습입니다. 최근 이슈인 에너지 및 곡물 가격이 주요 동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국채 발행의 여파도 있을 거라 봅니다. BEI는 연준이 어느 정도 개입이 가능한데, 향후 움직임에 주목해야겠습니다. 그동안 연준 위원들은 일관적으로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잘 고정되어 있다"는 스탠스였는데요. 곧 퇴임하는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의 경우도 BEI를 자주 언급한 바 있습니다. BEI의 최근 무빙이 그들의 스탠스에 영향을 미칠지 두고 봐야겠습니다. 지역 연준 데이터로 살펴본 경기 저는 지..

Article Archives 2023.07.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