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 5

중국 경제는 고점을 찍었는가? (PS)

중국 경제는 고점을 찍었는가? 형세를 읽어내고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되는 전문가들의 기고글을 번역해 정리합니다. 아래는 중국 푸단대 경제학부 학장이자 상하이 소재 싱크탱크인 중국경제연구센터 소장인 장쥔(Zhang Jun)의 Project Syndicate 기고글(1/3일)입니다. 중국은 경제성장에 불리한 인구 통계적 요인 외에도 막대한 부채, 자본의 잘못된 배분, 심각한 공해,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10년 전부터 이러한 문제를 잘 알고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중국 경제는 고점을 찍었나요? 중국 경제가 고점에 다다랐거나 이미 고점에 도달했다는 이야기는 서구 언론에서 널리 퍼져 있습니다. 그러나 종말론자들의 분석을 주의 깊게 읽어..

Column Archives 2024.01.05

2024년 중국 경제 톺아보기

2024년 중국 경제 톺아보기 이전 글에서 올해 국가 간 무역 갈등이 중국의 공급과잉 문제와 맞물려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봤음. 우선 올해 국가 간 무역 갈등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 생각하는데, 그동안 코로나 시기 국가 경제 지탱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쌓인 중국의 막대한 공업 재고가 수출을 통해 해외로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 유럽의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 조사(미국 측도 관련 이슈가 계속해서 언론에 노출되는 중), 계속되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의 해외 진출, 중국발 디플레이션 수출로 인한 상품 부문의 디스인플레이션, 알리 ·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의 해외 진출 가속화 등이 모두 비슷한 맥락에서 나온 이슈들. 중국의 공급과잉을 다른 국가들이 받아내거나 중국이 내수를 끌어올려..

Macro Essay 2024.01.03

2024년 지정학 이슈: 무역 갈등과 전쟁 장기화

2024년 지정학 이슈: 무역 갈등과 전쟁 장기화 올해 지정학, 국제관계 이슈, 특히 무역과 전쟁에 대한 일부 생각을 기록. 우선 올해 국가 간 무역 갈등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 생각하는데, 그동안 코로나 시기 경제 지탱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쌓인 중국의 막대한 공업 재고가 수출을 통해 해외로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 유럽의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 조사(미국 측도 관련 이슈가 계속해서 언론에 노출되는 중), 계속되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의 해외 진출, 중국발 디스인플레이션 수출, 알리 ·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의 해외 진출 가속화 등이 모두 비슷한 맥락에서 나온 이슈들. 중국의 공급과잉을 다른 국가들이 받아내거나 중국이 내수를 끌어올려 자국 내에서 받아내야 하는데 그 어느 ..

Macro Essay 2024.01.02

8.3. 미국 경제와 중국 통화정책에 관하여

미국 경제와 중국 통화정책에 관하여 *8월 3일 거시경제 에세이는 텔레그램에 공유한 내용을 블로그에 업데이트한 것입니다. 블로그 활성화 전까지 먼저 텔레그램에서 공유했던 에세이를 업데이트할 계획입니다. [본문] 미국 경기의 현주소를 살펴보면, 6월 서비스와 제조업 소비가 모두 강하게 나왔으나, 최근 발표된 7월 ISM 제조업 PMI 지수를 보면 제조업은 여전히 수축 국면에 머물러 있는 모습입니다. 6월 내구재, 비내구재 소비 회복에 대응해 신규 수주 지수가 전월 대비 반등하였지만 여전히 수축 국면에 머물러 있었고, 고용 및 생산 지수가 부진했습니다. 서비스업은 7월 ISM 서비스업 PMI 데이터를 확인해야 보다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 같네요.(S&P 서비스업 PMI 지수(예비치)는 서비스업 PMI ..

Macro Essay 2023.08.11

6.18. 연준 FOMC SEP에 대한 생각

연준 FOMC SEP에 대한 생각 *6월 18일 에세이는 텔레그램에 공유한 내용을 블로그에 업데이트한 것. 블로그 활성화 전까지 먼저 기존에 텔레그램에서 공유했던 에세이를 업데이트할 계획. [본문] SEP로 매크로 Think 로직 잡기. 이번 6월 FOMC에서 제시된 SEP를 뜯어보면 나름의 Think 로직을 잡아낼 수 있음. 픽션에 가깝지만 고려해볼 가치는 있다 판단해 공유함. 금리 인상이 내러티브를 만들어 내는 주요 채널은 두 가지 1) 경기 2) 밸류임. 그중 1) 경기 측면의 채널에서 Think 로직을 잡아보자면, 이번 FOMC에서 발표된 SEP는 25~50bp 인상 가능성을 점치는 전망 아래 작성되었으며, 주목할 부분은 시장 참여자들이 기존에 기대하고 있던 흐름(경기과 물가)이 여기서 등장하였다..

Macro Essay 2023.08.09
반응형